리눅스3 [CentOS 7] 리눅스 파티션(Partition)과 마운트(Mount) 저장장치(HDD 등)를 자동으로 찾고 연결하는 윈도우 시스템과는 달리 리눅스는 물리적 장치 연결 시 수동으로 장치를 연결해주어야 합니다. 윈도우에선 이를 PnP(plug&play) 방식이라 하고 리눅스에선 마운트(mount) 방식이라고 합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선 자동으로 내부에서 마운트 과정이 진행되지만 리눅스 시스템에선 관리자가 해당하는 디렉터리에 일일이 파티션을 나누고 붙여줘야 하기 때문에 윈도우 방식보다 과정이 좀 더 번거롭습니다. 리눅스 마운트(mount) 과정 리눅스 시스템 마운트 과정은 크게 파티션 구성 -> 포맷 -> 마운트 순서로 진행됩니다. 각각의 과정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용어가 다르기 때문에 각 과정에 대한 명령어, 용어들을 먼저 익혀 두셔야 합니다. 1. 파티션 구성(HD 분할) 대표.. 2021. 2. 18. [CentOS 7] 프롬프트(Prompt) 구조 프롬프트(Prompt) 란? 프롬프트(Prompt)는 컴퓨터가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화면에 나타내고 있는 메세지(신호) 입니다. 리눅스 커널에 접속을 하면 맨 먼저 보이는 문자열들이 바로 리눅스의 프롬프트 입니다. 이런식으로 프롬프트가 보이는데 각각의 구문엔 의미가 있습니다. 맨 앞의 root 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계정명 입니다. 현재는 root(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 있어 계정명이 root 라고 표기가 되어있네요. localhost는 리눅스 시스템의 호스트명 입니다. 쉽게 말해 컴퓨터의 이름 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접속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칭 입니다. 계정명(root) 와 호스트명(localhost) 사이에.. 2021. 2. 16. [CentOS 7] 커널(Kernel) 이란? 커널(Kernel) 이란? 리눅스에서 커널(Kernel)은 사람의 심장 또는 자동차의 엔진과도 같은 중요한 부위 입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해 주는 다리 역할을 하며, 프로그램을 실행 하면 쉘(shell)이 이를 기계어로 번역 합니다. 커널은 기계어로 번역된 명령을 인식하여 하드웨어를 알맞게 동작하는 역할을 수행 합니다. 쉽게 말해 보편적으로 우리가 아는 운영체제(os)의 역할을 하는것이 커널 입니다. 커널은 이처럼 리눅스 시스템의 핵심 컴포넌트 입니다. 커널 외에도 리눅스 시스템의 핵심 컴포넌트는 크게 3가지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의 핵심 컴포넌트 3가지 구분 설명 커널(Kernel) 1)의미 - 메인 메모리에 상주하여 컴퓨터 자원.. 2021. 2.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