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CentOS 07

[CentOS 7] 리눅스 파티션(Partition)과 마운트(Mount)

by AFD 2021. 2. 18.

저장장치(HDD 등)를 자동으로 찾고 연결하는 윈도우 시스템과는 달리 리눅스는 물리적 장치 연결 시 수동으로 장치를 연결해주어야 합니다.

윈도우에선 이를 PnP(plug&play) 방식이라 하고 리눅스에선 마운트(mount) 방식이라고 합니다.

윈도우 시스템에선 자동으로 내부에서 마운트 과정이 진행되지만 리눅스 시스템에선 관리자가 해당하는 디렉터리에 일일이 파티션을 나누고 붙여줘야 하기 때문에 윈도우 방식보다 과정이 좀 더 번거롭습니다.

 

리눅스 마운트(mount) 과정


리눅스 시스템 마운트 과정은 크게

파티션 구성 -> 포맷 -> 마운트 순서로 진행됩니다.

각각의 과정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용어가 다르기 때문에 각 과정에 대한 명령어, 용어들을  먼저 익혀 두셔야 합니다.

 

1. 파티션 구성(HD 분할)

대표 용어

 - primary : 리눅스 시스템 부팅이 가능한 주 영역을 뜻합니다. 윈도우 시스템의 c드라이브와 비슷한 역할을 하며 최대 3~4개 할당 가능합니다.

 - extended : 확장영역을 뜻합니다. 윈도우 시스템의 d드라이브와 비슷한 역할을 하며 *logical 영역을 만들기 위한 확장 공간입니다. 최대 1개만 생성이 가능합니다. (*logical 영역? : 논리 영역을 뜻하며 extended 안에서만 존재하고 개수 제한은 없습니다.)

 

대표 명령어

 

-fdisk 명령어-

구분 설명
fdisk -l 하드 전체 리스트 보기
fdisk -l /dev/sdb 특정 하드 리스트 보기
fdisk /dev/장치명 하드 파티션 구성하기
ex) fdisk /dev/sdb

 

-fdisk 내부 명령어-

구분 설명
n 파티션 생성
d 파티션 삭제
p 파티션 상태보기
m 메뉴얼 보기
q 파티션 저장하지 않고 종료
w 파티션 저장 후 종료
t 파티션 속성변경

2. 포맷 (file system 생성/설치)

대표 용어

 - file system : 파일을 관리하는 시스템

 - ext4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의 한 종류. Fourth extended file system의 줄임말이다.  64비트의 기억 공간 제한을 없앤 대형 파일 시스템으로 이전 버전인 ext3과 ext2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 명령어

 

-mkfs 명령어-

구분 설명
mkfs -t ext4 [장치명]
mkfs.ext4 [장치명]
해당 장치 포멧
ex) mkfs -t ext4 /dev/sdb 의미 :  sdb 장치를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멧

※ extended(확장영역)는 포맷이 불가능하다. exteded는 logical(논리영역)을 만들기 위한 단순한 그릇의 역할이기 때문에 스스로 가지고 있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포맷 불가능


3. 마운트(Mount)

대표 용어

 - mount : 포맷이 완료된 장치/파티션을 사용 가능한 디렉터리에 붙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위의 1번과 2번 과정이 필수적으로 진행돼야 마운트가 가능합니다.

- 마운트 포인트 :  마운트 될 디바이스를 직접적으로 연결시켜줄 디렉터리

 

대표 명령어

 

-mount 명령어-

구분 명령어 설명
마운트 mount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마운트 할당 명령어
ex) mount /dev/sdb1 /mp1
마운트 확인 df -Th
cat /etc/mtap
vi /etc/fstab
현재 마운트 된 디스크들의 정보를 출력
mtap : 부팅 상태에서만 mount 되는 휘발성 테이블
fstab :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도록 설정되는 테이블. 설정 후 항상 mount -a 명령어를 입력해 줘야 한다.
마운트 해제 umount [장치명]
umount [마운트 포인트]
이미 할당 된 마운트들을 해제하는 명령어
ex) umount /dev/sdb1
     umount /mp1

 

-mount 옵션-

옵션 설명
-a /etc/tstab 에 작성된 모든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t 파일 시스템의 형식을 저장
-n /etc/mtap 파일에 정보를 남기지 않고 마운트
-o -o 뒤에 쉼표( , ) 를 사용하여 다음 옵션을 사용
defaults rw,suid,dev,exec,auto,nouser,async 를 기본 옵션으로 사용한다.

-umount 옵션-

옵션 설명
-a /etc/fstab 에 작성된 모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를 해제하는 명령어. 정상적인 상황에서 실행 비추천
-f 강제 연결 해제 명령어. NFS 서비스에 연결되어 있는 파일시스템을 연결 해제 할 때 사용한다.

 

'Linux > CentOS 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리눅스 디렉토리(Directory) 구조  (0) 2021.02.16
[CentOS 7] 프롬프트(Prompt) 구조  (0) 2021.02.16
[CentOS 7] 커널(Kernel) 이란?  (0) 2021.02.16